어느덧 꿉꿉하고 찌뿌둥한 장마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한동안 들리지 않던 비 소식이 늘어난 걸 보니 이제 여름이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본격적인 여름을 맞이하는 지금, 하반기 대비 워크샵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을텐데요.
꼼꼼히 점검하여 성공적인 워크샵을 개최하실 수 있도록 스페이스코웍이 워크샵 체크리스트를 준비했습니다.
워크샵의 프로, 스페이스코웍이 만든 체크리스트만 따라가시면 워크샵의 퀄리티가 한 단계 올라가실 거예요.

워크샵을 진행해야 할 때, 무엇부터 진행하는 것이 좋을까요?
연사나 강사의 섭외? 워크샵 일정표 제작? 행사장의 선정?
물론 모두 중요하지만, 이 모든 것에 앞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워크샵 계획을 수립하는 일이죠.
그렇다면 워크샵 계획은 어떻게 수립하는 것이 좋을까요?
다음 순서대로 계획을 수립한다면 원활하게 준비를 마치실 수 있을 거예요.
1. 워크샵의 성격

워크샵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워크샵의 성격을 정하는 일입니다.
교육 목적의 워크샵인지, 사내 단합과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워크샵인지, 아니면 둘 모두가 혼합된 워크샵인지 등을 결정해야 하죠.
워크샵의 성격을 정하지 않으면 대상 인원 설정과 내용 설정을 진행하는 데 있어 크게 어려울 것입니다.
2. 대상 인원

워크샵의 성격을 정했다면 다음으로 해야하는 것은 바로 워크샵의 대상 인원을 정하는 일입니다.
같은 레크리에이션 목적의 워크샵이더라도 2030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과 전사원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은 다를 수 밖에 없겠죠?
대상 인원의 특성에 따라 워크샵의 내용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대상 인원을 명확히 정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3. 워크샵의 내용

워크샵의 성격과 대상 인원을 선정했다면 마지막으로는 워크샵의 내용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때는 상세한 워크샵의 내용을 정하기보다 워크샵의 큰 틀을 만든다고 생각해주세요.
워크샵의 상세한 내용은 행사장 섭외 현황이나 연사, 강사의 일정 등에 따라 조율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개략적인 얼개만 작성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워크샵 계획의 큰 틀이 마련되었다면 다음 스탭은 행사장 섭외입니다.
행사장이 섭외되지 않는다면 기껏 짜둔 계획은 백지가 될 테니까요.
행사장의 크기나 행사 장소의 설비, 컨디션 등에 따라 계획의 세세한 부분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원하는 일자에 행사장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역시도 확인해야겠죠?
이제는 행사장을 섭외할 때 체크해야 할 리스트를 알려드릴게요.

행사장 섭외의 첫 번째 기준은 행사장의 위치입니다.
행사장은 가까우나 도로 상태가 불량하여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린다거나, 자차 없이 참여하기 어려운 장소에 위치해 있다면 곤란하겠죠?
워크샵에 참여하는 기업/기관으로부터 가까운 곳인지, 실제 소요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교통편은 어떻게 되어있는지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행사장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기능, 시설, 이용 가능 일자에 따른 선정

행사장 섭외의 두 번째 기준은 행사장이 보유한 기능 및 시설, 그리고 이용이 가능한 일자입니다.
워크샵의 성격에 따라 필요한 기능과 시설이 다 다르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실 것입니다.
레크리에이션을 목적으로 워크샵을 계획했는데, 행사장 내에 레크리에이션에 꼭 필요한 마이크나 큰 강당이 없다면?
교육 목적으로 계획했는데 자료를 선명히 공유할 고휘도 빔프로젝터나 고채도 LED스크린이 없다면?
또는 워크샵 목적에 맞는 기능과 시설은 보유했지만 목표한 일자에 해당 행사장을 이용할 수 없다면?
행사장 대관을 문의할 때 꼼꼼히 체크해야 워크샵 당일에 당황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겠습니다.

행사장 섭외의 마지막 기준은 바로 가격입니다.
워크샵을 진행할 때는 한정된 예산으로 최대의 퀄리티를 만들어야 하죠.
한정된 예산 내에서 행사장을 섭외하는 건 당연하지만, 많은 분들이 간과하시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부가 서비스에 지불되는 비용입니다.
부가서비스 비용을 책정하지 않으면 예상하지 못한 부분에서 예산이 지출되고, 그만큼 다른 부분에서 예산을 덜 지출할 수 밖에 없겠죠.
그렇기 때문에 행사장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무료인지, 유료인지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워크샵 계획을 세우고, 워크샵이 진행될 행사장 섭외도 마쳤다면 이제는 시간 분배만 남았습니다.
시간을 분배할 때는 세부적인 부분까지 모두 조율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이를테면 목적지 도착 시간을 설정할 때는 대상 인원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해 모든 인원이 집결 가능한 시간이 언제인지를 파악해야겠죠.
마찬가지로 연사나 강사를 초청한다면 해당 연사가 참석 가능한 시간인지를 파악하여 조율해야합니다.
모든 일정이 조율되어 최종 일정표가 작성되었다면 그 일정표를 모든 행사 참석 인원에게 공지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스페이스코웍은 전주, 완주, 나주 3곳의 지역에 총 4개의 지점이 있습니다.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전북혁신본점, 나주혁신도시에 위치한 전남혁신점, 전북도청 인근에 위치한 전북도청점, 1호점과 마찬가지로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전주캠퍼스점까지!
지점별로 각각의 특색을 지금부터 하나하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전북혁신본점


좌) 라운지 / 우) 워룸
넓은 라운지가 인상적인 전북혁신본점입니다.
전북혁신본점은 1층과 5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1층은 모임공간, 공용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5층은 공유 오피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넓은 라운지는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공간이며, 오피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간단한 미팅,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회의나 세미나 등 여러 행사를 진행하는 모임공간입니다.

스페이스코웍 전북혁신점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안전로 139 103호, 104호
☞전북혁신점 모임공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좌)세미나실 / 중)보드룸 / 우)타운홀프로1
좌)타운홀프로2 / 중)타운홀2 / 우)타운홀1
전북혁신본점과 마찬가지로 넓은 라운지를 보유한 전남혁신점입니다.
전남혁신점은 1,2,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층은 모임공간, 3층은 공유 오피스를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지점과 다르게 많은 모임공간을 보유하고 있고 최대 8명부터 100명까지 수용이 가능해 소형 회의부터 대형 세미나까지 행사의 스펙트럼이 넓습니다.
전남혁신점의 라운지는 전북혁신본점과 다르게 오직 고객들을 위한 공용 공간으로만 운영이 되고 있어 부담 없이 휴식, 티타임, 간단한 미팅을 자유롭게 하실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코웍 전남혁신점
전라남도 나주시 배멧2길 25
☞전남혁신점의 모임공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좌)세미나2실 / 중)세미나3실 / 우)세미나4실
전주 신시가지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고 주요 공공기관, 교통수단과 가까워 지리적으로 장점인 전북도청점입니다.
또한 전북도청점 근처 수많은 생활 편의시설들이 있어 업무 외 기타 처리할 금전적인 업무, 문화생활 등 다양한 생활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라고 생각합니다.
전북도청점은 2층에 구성되어 있으며 모임공간과 공유 오피스가 한 층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업무 중 간단한 회의, 미팅이 있을 시 사무실 바로 옆에 위치한 회의실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부가 시설 또한 다양해 직원들의 복지 및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코웍 전북도청점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75 춘광빌딩 2층




전북혁신본점과 도보로 3분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전주캠퍼스점입니다.
전주캠퍼스점은 5층에 구성되어 있으며, 전북도청점과 마찬가지로 모임공간과 공유 오피스가 한 층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 구축된 지점인 만큼 깔끔하고 모던한 인테리어로 많은 분들이 높은 만족감을 느끼시고 있습니다.
8명부터 50명까지 수용 가능한 모임공간도 준비되어 있어 인근 기관, 기업에서 자주 사용해 주시고 있으며 사무실을 사용하시면서 간단한 회의 및 미팅을 하시기에 적합한 공간입니다.

스페이스코웍 전주캠퍼스점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오공로 37 상진빌딩 5층
어느덧 꿉꿉하고 찌뿌둥한 장마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한동안 들리지 않던 비 소식이 늘어난 걸 보니 이제 여름이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본격적인 여름을 맞이하는 지금, 하반기 대비 워크샵을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을텐데요.
꼼꼼히 점검하여 성공적인 워크샵을 개최하실 수 있도록 스페이스코웍이 워크샵 체크리스트를 준비했습니다.
워크샵의 프로, 스페이스코웍이 만든 체크리스트만 따라가시면 워크샵의 퀄리티가 한 단계 올라가실 거예요.
워크샵을 진행해야 할 때, 무엇부터 진행하는 것이 좋을까요?
연사나 강사의 섭외? 워크샵 일정표 제작? 행사장의 선정?
물론 모두 중요하지만, 이 모든 것에 앞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워크샵 계획을 수립하는 일이죠.
그렇다면 워크샵 계획은 어떻게 수립하는 것이 좋을까요?
다음 순서대로 계획을 수립한다면 원활하게 준비를 마치실 수 있을 거예요.
1. 워크샵의 성격
워크샵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워크샵의 성격을 정하는 일입니다.
교육 목적의 워크샵인지, 사내 단합과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워크샵인지, 아니면 둘 모두가 혼합된 워크샵인지 등을 결정해야 하죠.
워크샵의 성격을 정하지 않으면 대상 인원 설정과 내용 설정을 진행하는 데 있어 크게 어려울 것입니다.
2. 대상 인원
워크샵의 성격을 정했다면 다음으로 해야하는 것은 바로 워크샵의 대상 인원을 정하는 일입니다.
같은 레크리에이션 목적의 워크샵이더라도 2030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과 전사원 대상으로 진행하는 것은 다를 수 밖에 없겠죠?
대상 인원의 특성에 따라 워크샵의 내용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대상 인원을 명확히 정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3. 워크샵의 내용
워크샵의 성격과 대상 인원을 선정했다면 마지막으로는 워크샵의 내용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때는 상세한 워크샵의 내용을 정하기보다 워크샵의 큰 틀을 만든다고 생각해주세요.
워크샵의 상세한 내용은 행사장 섭외 현황이나 연사, 강사의 일정 등에 따라 조율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지금 단계에서는 개략적인 얼개만 작성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워크샵 계획의 큰 틀이 마련되었다면 다음 스탭은 행사장 섭외입니다.
행사장이 섭외되지 않는다면 기껏 짜둔 계획은 백지가 될 테니까요.
행사장의 크기나 행사 장소의 설비, 컨디션 등에 따라 계획의 세세한 부분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원하는 일자에 행사장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역시도 확인해야겠죠?
이제는 행사장을 섭외할 때 체크해야 할 리스트를 알려드릴게요.
1. 위치에 따른 선정
행사장 섭외의 첫 번째 기준은 행사장의 위치입니다.
행사장은 가까우나 도로 상태가 불량하여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린다거나, 자차 없이 참여하기 어려운 장소에 위치해 있다면 곤란하겠죠?
워크샵에 참여하는 기업/기관으로부터 가까운 곳인지, 실제 소요 시간은 어떻게 되는지, 교통편은 어떻게 되어있는지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행사장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기능, 시설, 이용 가능 일자에 따른 선정
행사장 섭외의 두 번째 기준은 행사장이 보유한 기능 및 시설, 그리고 이용이 가능한 일자입니다.
워크샵의 성격에 따라 필요한 기능과 시설이 다 다르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실 것입니다.
레크리에이션을 목적으로 워크샵을 계획했는데, 행사장 내에 레크리에이션에 꼭 필요한 마이크나 큰 강당이 없다면?
교육 목적으로 계획했는데 자료를 선명히 공유할 고휘도 빔프로젝터나 고채도 LED스크린이 없다면?
또는 워크샵 목적에 맞는 기능과 시설은 보유했지만 목표한 일자에 해당 행사장을 이용할 수 없다면?
행사장 대관을 문의할 때 꼼꼼히 체크해야 워크샵 당일에 당황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겠습니다.
3. 가격에 따른 선정
행사장 섭외의 마지막 기준은 바로 가격입니다.
워크샵을 진행할 때는 한정된 예산으로 최대의 퀄리티를 만들어야 하죠.
한정된 예산 내에서 행사장을 섭외하는 건 당연하지만, 많은 분들이 간과하시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부가 서비스에 지불되는 비용입니다.
부가서비스 비용을 책정하지 않으면 예상하지 못한 부분에서 예산이 지출되고, 그만큼 다른 부분에서 예산을 덜 지출할 수 밖에 없겠죠.
그렇기 때문에 행사장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무료인지, 유료인지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04. 시간 분배
워크샵 계획을 세우고, 워크샵이 진행될 행사장 섭외도 마쳤다면 이제는 시간 분배만 남았습니다.
시간을 분배할 때는 세부적인 부분까지 모두 조율이 완료되어야 합니다.
이를테면 목적지 도착 시간을 설정할 때는 대상 인원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해 모든 인원이 집결 가능한 시간이 언제인지를 파악해야겠죠.
마찬가지로 연사나 강사를 초청한다면 해당 연사가 참석 가능한 시간인지를 파악하여 조율해야합니다.
모든 일정이 조율되어 최종 일정표가 작성되었다면 그 일정표를 모든 행사 참석 인원에게 공지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스페이스코웍은 전주, 완주, 나주 3곳의 지역에 총 4개의 지점이 있습니다.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전북혁신본점, 나주혁신도시에 위치한 전남혁신점, 전북도청 인근에 위치한 전북도청점, 1호점과 마찬가지로 전북혁신도시에 위치한 전주캠퍼스점까지!
지점별로 각각의 특색을 지금부터 하나하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좌) 라운지 / 우) 워룸
넓은 라운지가 인상적인 전북혁신본점입니다.
전북혁신본점은 1층과 5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1층은 모임공간, 공용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5층은 공유 오피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넓은 라운지는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공간이며, 오피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간단한 미팅, 휴식을 취하는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회의나 세미나 등 여러 행사를 진행하는 모임공간입니다.
스페이스코웍 전북혁신점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안전로 139 103호, 104호
☞전북혁신점 모임공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좌)라운지 / 우)회의실
좌)세미나실 / 중)보드룸 / 우)타운홀프로1
좌)타운홀프로2 / 중)타운홀2 / 우)타운홀1
전북혁신본점과 마찬가지로 넓은 라운지를 보유한 전남혁신점입니다.
전남혁신점은 1,2,3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층은 모임공간, 3층은 공유 오피스를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지점과 다르게 많은 모임공간을 보유하고 있고 최대 8명부터 100명까지 수용이 가능해 소형 회의부터 대형 세미나까지 행사의 스펙트럼이 넓습니다.
전남혁신점의 라운지는 전북혁신본점과 다르게 오직 고객들을 위한 공용 공간으로만 운영이 되고 있어 부담 없이 휴식, 티타임, 간단한 미팅을 자유롭게 하실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코웍 전남혁신점
전라남도 나주시 배멧2길 25
☞전남혁신점의 모임공간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다면?
좌)라운지 / 우)세미나1실
좌)세미나2실 / 중)세미나3실 / 우)세미나4실
전주 신시가지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고 주요 공공기관, 교통수단과 가까워 지리적으로 장점인 전북도청점입니다.
또한 전북도청점 근처 수많은 생활 편의시설들이 있어 업무 외 기타 처리할 금전적인 업무, 문화생활 등 다양한 생활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라고 생각합니다.
전북도청점은 2층에 구성되어 있으며 모임공간과 공유 오피스가 한 층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업무 중 간단한 회의, 미팅이 있을 시 사무실 바로 옆에 위치한 회의실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부가 시설 또한 다양해 직원들의 복지 및 혜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코웍 전북도청점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홍산로 275 춘광빌딩 2층
☞전북도청점의 모임공간을 더 알고 싶으시다면?
좌)라운지 / 우)워룸1
좌)워룸2 / 우)보드룸
전북혁신본점과 도보로 3분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전주캠퍼스점입니다.
전주캠퍼스점은 5층에 구성되어 있으며, 전북도청점과 마찬가지로 모임공간과 공유 오피스가 한 층에 운영되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 구축된 지점인 만큼 깔끔하고 모던한 인테리어로 많은 분들이 높은 만족감을 느끼시고 있습니다.
8명부터 50명까지 수용 가능한 모임공간도 준비되어 있어 인근 기관, 기업에서 자주 사용해 주시고 있으며 사무실을 사용하시면서 간단한 회의 및 미팅을 하시기에 적합한 공간입니다.
스페이스코웍 전주캠퍼스점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오공로 37 상진빌딩 5층
☞전주캠퍼스점의 모임공간을 더 알고 싶으시다면?
대관 소개서 대관 문의